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Main01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배열선언
char[] ch; //char[]은 배열의 자료형
//배열 생성
ch = new char[4];//4는 배열의 길이를 말함.(0123)순서
//배열 초기화
ch[0] = 'J';
ch[1] = 'A';
ch[2] = 'V';
ch[3] = 'A';
//배열의 요소 출력
System.out.println(ch[0]);
System.out.println(ch[1]);
System.out.println(ch[2]);
System.out.println(ch[3]);
System.out.println("===================");
//반복문을 이용한 배열의 요소 출력
for(int i=0;i<ch.length;i++) { //i<4 는 배열의 길이 (배열의 길이를 알고 있을 때)
//i<ch.length는 배열의 길이(배열의 길이를 모를 떄)
System.out.println("ch["+i+"]:"+ch[i]);
}
//배열의 선언 및 생성
int[] it = new int[6]; //위에서는 따로따로 여기선 한줄로 만듬
//배열의 선언 및 생성(명시적 배열 생성), 초기화
char[] ch2 = new char[] {'J','A','V','A'};
//배열의 선언 및 생성(암시적 배열 생성), 초기화
char[] ch3 = {'자','바'}; //new char[]를 생략
}
}
J
A
V
A
===================
ch[0]:J
ch[1]:A
ch[2]:V
ch[3]:A
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Main02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정수형 배열 선언 및 생성
//배열을 생성하면 배열의 요소로 기본값이 저장됨
//정수형 배열은 0을 기본값으로 배열을 생성
int[] array = new int[5];
//반복문을 이용한 요소의 출력
for(int i =0; i<array.length; i++) {
System.out.println("array["+i+"]:"+array[i]);
}
System.out.println("========================");
//배열의 요소 변경
array[0] = 10;
array[1] = 20;
array[2] = 30;
array[3] = 40;
array[4] = 50;
//없는 인덱스를 호출하면 컴파일은 되지만 실행시 오류 발생
//array[5] = 60; //원래 없는 배열
//반복문을 이용한 요소의 출력
for(int i =0; i<array.length; i++) {
System.out.println("array["+i+"]:"+array[i]);
}
}
}
array[0]:0
array[1]:0
array[2]:0
array[3]:0
array[4]:0
========================
array[0]:10
array[1]:20
array[2]:30
array[3]:40
array[4]:50
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Main03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배열 선언 및 생성(암시적 배열 생성), 초기화
int[] array = {10,20,30,40,50}; //int[]를 썼기 때문에 뒤에오는 자료형들은 통일되어야됨.
//배열명
// int array[] 도 가능하다.
//반복문을 이용한 배열의 요소 출력
for(int i =0 ; i<array.length; i++) {
System.out.print(array[i]+"\\t");
}
System.out.println("\\n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");
//확장 for문을 이용한 배열의 요소 출력
for(int num: array) {
System.out.print(num + "\\t");
}
}
}
10 20 30 40 50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10 20 30 40 50
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Main04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int sum = 0; //총점을 저장하는 변수
float average = 0.0f; //평균을 저장하는 변수
//배열 선언, 생성, 초기화
int[] score = {100,88,88,100,90};// length = 5
//총점 구하기
for(int i=0;i<score.length;i++) {
//누적
sum +=score[i];
}
//평균 구하기
average = sum/(float)score.length; //float를 써줘야지 평균을 구할 때 소수점이 올바르게 나옴.
System.out.printf("총점:%d%n",sum);
System.out.printf("평균:%.2f",average);
}
}
총점:466
평균:93.20
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Main05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int[] score = {79,88,91,33,100,55,95};
int max = score[0];//최대값이 저장되는 변수
int min = score[0];//최소값이 저장되는 변수
for (int i=1;i<score.length;i++) {
//최대값 구하기
if (score[i] > max) {
max = score[i];
}
//최소값 구하기
if (score[i] < min) {
min = score[i];
}
}//end of for
//최대값과 최소값 출력
System.out.println("최대값 : "+ max);
System.out.println("최소값 : "+ min);
}//end of main
}
최대값 : 100
최소값 : 33
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Main06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문자열 배열 선언 및 생성
String[] array = new String[3];
array[0] = "Java";
array[1] = "Oracle";
array[2] = "JSP";
//반복문을 이용한 배열의 요소 출력
for (int i =0; i <array.length; i++) {
System.out.println(array[i]);
}
System.out.println("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");
//확장 for문을 이용한 배열의 요소 출력
for(String str: array) {
System.out.println(str);
}
}
}
Java
Oracle
JSP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Java
Oracle
JSP
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Main07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java.util.Scanner input =
new java.util.Scanner(System.in);
String[] course = {"국어","영어","수학"};
int[] score = new int[course.length];//0:국어,1:영어,2:수학
int sum = 0;
float avg = 0.0f;
//반복문을 이용해서 입력 처리
for(int i = 0 ; i < score.length; i++) {
//입력값을 0~100만 가능하게 조건 체크
do {
System.out.print(course[i]+ "=" );
score[i] = input.nextInt();
}while(score[i] < 0 || score[i] > 100);
//총점 구하기
sum +=score[i];
}
//평균 구하기
avg = sum/(float)course.length;
//과목의 점수 출력
for(int i=0; i<score.length;i++) {
System.out.printf("%s = %d%n", course[i],score[i]);
}
System.out.printf("총점:%d%n",sum);
System.out.printf("평균:%.2f",avg);
input.close();
}
}
국어=80
영어=70
수학=50
국어 = 80
영어 = 70
수학 = 50
총점:200
평균:66.67
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Main08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클래스를 실행할 떄 외부에서 데이터 전달
// run as + run configuration > arguments > 입력하면 들어간다.
//System.out.println(args [0]);
//System.out.println(args [1]);
if(args.length>0) {
for(int i =0 ; i < args.length; i ++) {
System.out.println(i+ ":" + args[i]);
}
}else {
System.out.println("입력한 내용이 없습니다.");
}
}
}
입력한 내용이 없습니다.
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Main09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 main 의 데이터는 두 개의 정수
// main 의 인자로 데이터를 전달하면 전달한 데이터의 자료형은
// 모두 String 으로 인식하기 떄문에 +연산이 되지않고
// 문자열 연결이 된다.
System.out.println(args[0] + args[1]);
System.out.println("-----------------------");
//자료형을 String > int 로 바꾸어 연산이 가능하게 하는 방법
int num = Integer.parseInt(args[0]);
int num2 = Integer.parseInt(args[1]);
System.out.println("합계 : "+ (num + num2));
}
}
Exception in thread "main" java.lang.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: Index 0 out of bounds for length 0
at kr.s04.array.ArrayMain09.main(ArrayMain09.java:9)
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Main10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*
* 1) 10,20,30,40,50 을 초기값으로 갖는 1차원 배열 test
* 이름으로 선언 , 생성 , 초기화 하시오.
* 2) 반복문을 이용해서 출력하시오.
* 3) 확장 for문을 이용해서 출력하시오
* 4) 인덱스 3에 데이터를 100으로 변경하시오
* 5) 마지막 요소의 값을 200으로 변경하시오
* 6) 반복문을 사용하여 모든요소의 값을 0으로 초기화 하시오 .
* 7) 홀수인덱스에 10 , 짝수 인데스에 20을 저장
* 8) 모든 요소의 총합과 평균(총합을 요소의 수로 나눔)을 구하고 출력하시오.
*/
// 1)
// 명시적 배열 생성
// int[] test = new int[] {10,20,30,40,50];
// 암시적 배열 생성
int test[] = {10,20,30,40,50};
// 2)
for(int i = 0; i < test.length; i++) {
System.out.print(test[i] + "\\t");
}
System.out.println();
// 3)
for(int num : test) {
System.out.print(num + "\\t");
}
System.out.println();
// 4)
test[3] = 100;
// 5)
test[test.length - 1] = 200;
for(int i = 0; i < 5; i++) {
System.out.print(test[i] + "\\t");
}
System.out.println();
// 6)
for(int i = 0; i < 5; i++) {
test[i] = 0;
System.out.print(test[i] + "\\t");
}
System.out.println();
// 7)
for(int i = 0; i < test.length; i++) {
if(i%2==0) {
test[i] = 20;}
else {test[i] = 10;}
System.out.print(test[i] + "\\t");
}
System.out.println();
// 8)
int sum = 0;
float avg = 0.0f;
for(int i = 0 ; i < test.length ; i++) {
sum += test[i];
}
avg = sum / (float)test.length;
System.out.printf("총합 : %d%n평균 : %.2f", sum, avg);
}
}
10 20 30 40 50
10 20 30 40 50
10 20 30 100 200
0 0 0 0 0
20 10 20 10 20
총합 : 80
평균 : 16.00
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Main11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*
* [실습]
* double 형인 배열의 모든 요소의 합과 평균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
*
* [입력 예시]
* 요소의 수 > 3
* a[0] = 2.2
* a[1] = 2.2
* a[2] = 3.3
*
* [출력 예시]
* 모든 요소의 합 : 7.7 System.out.println()
* 모든 요소의 편균 : 2.57 System.out.prinf()
*
*/
java.util.Scanner input =
new java.util.Scanner(System.in);
System.out.print("요소의 수 : ");
int num = input.nextInt();
double sum = 0;
double a[] = new double[num];
for(int i = 0; i < a.length; i++) {
System.out.print("a["+i+"] : ");
double b = input.nextDouble();
a[i] = b;
sum += a[i];
}
System.out.println("모든 요소의 합 : "+sum);
System.out.printf("모든 요소의 평균 : %.2f", (sum / a.length));
input.close();
}
}
요소의 수 : 3
a[0] : 2.2
a[1] : 2
a[2] : 2.3
모든 요소의 합 : 6.5
모든 요소의 평균 : 2.17
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Main12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*
* [실습]
* 단을 입력 받아서 1~9까지 곱하고 결과값을 배열에 저장.
* 배열에 저장 된 값을 읽어서 구구단 출력 형식 (2*1=2)로 출력하시오.
*
* [입력 예시]
* 단 입력 : 2
*
* [출력 예시]
* 2단
* -------
* 2*1 = 2
* 2*2 = 4
*/
java.util.Scanner input =
new java.util.Scanner(System.in);
System.out.print("단 입력 : ");
int dan = input.nextInt();
//연산의 결과값을 저장 할 배열 선언 및 생성
int [] array = new int[9];
System.out.println(dan + "단");
System.out.println("-------");
for(int i = 0 ; i < array.length; i++) {
array[i] = dan * (i+1);
System.out.printf("%d*%d = %d%n",dan,i+1 ,array[i]);
}
input.close();
}
}
단 입력 : 2
2단
-------
2*1 = 2
2*2 = 4
2*3 = 6
2*4 = 8
2*5 = 10
2*6 = 12
2*7 = 14
2*8 = 16
2*9 = 18
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SecondMain01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2차원 배열 선언
int[][] test;
//2차원 배열 생성 (2행 3열)
test = new int[2][3];
//2차원 배열 초기화
//행번호 열번호
test[0][0] = 100;
test[0][1] = 200;
test[0][2] = 300;
test[1][0] = 400;
test[1][1] = 500;
test[1][2] = 600;
System.out.println(test[0][0]);
System.out.println(test[0][1]);
System.out.println(test[0][2]);
System.out.println(test[1][0]);
System.out.println(test[1][1]);
System.out.println(test[1][2]);
System.out.println("--------------------");
//반복문을 이용한 배열의 요소 출력
//i가 행번호
for(int i =0 ; i < test.length; i++) {
//j가 열번호
for(int j =0 ; j < test[i].length; j++) {
System.out.println("test["+i+"[["+j+"]:" + test[i][j]);
}
}//end of for
System.out.println("--------------------");
// 2차원 배열 선언 및 생성
int test2[][] = new int[3][3];
// 명시적 2차원배열 생성
int [][]test3 = new int[][] {{10,20,30},
{40,50,60}
};
// 암시적 2차원배열 생성
int [][]test4 = {
{10,20,30},
{40,50,60}};
}
}
100
200
300
400
500
600
--------------------
test[0[[0]:100
test[0[[1]:200
test[0[[2]:300
test[1[[0]:400
test[1[[1]:500
test[1[[2]:600
--------------------
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SecondMain02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int[][] score = {
{99,98,97},
{89,72,88},
{99,97,92},
{81,92,99},
{99,90,79}};
System.out.println("번호 국어 영어 수학 총점 평균");
System.out.println("--------------------");
//행의 길이
for(int i =0 ; i < score.length; i++) {
int sum = 0;//총점
//번호 출력
System.out.print(" " + (i+1) +" ");
//열의 길이
for(int j =0 ; j < score[i].length; j++) {
//총점 구하기
sum += score[i][j];
//과목 점수 구하기
System.out.print(score[i][j] + " ");
}
//총점 출력하기
System.out.println(sum + " "+ sum/score[i].length);
}//end of for
}
}
번호 국어 영어 수학 총점 평균
--------------------
1 99 98 97 294 98
2 89 72 88 249 83
3 99 97 92 288 96
4 81 92 99 272 90
5 99 90 79 268 89
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SecondMain03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java.util.Scanner input =
new java.util.Scanner(System.in);
//과목명
String[] course = {"국어","영어","수학"};
//인원수
System.out.print("인원수:");
int num = input.nextInt();
//인원수 과목수
//행의 길이 열의 길이
int[][] score = new int[num][course.length];
//총점을 저장하는 배열
int[] sum = new int[num];
//평균을 저장하는 배열
float[] avg = new float[num];
//성적을 입력받고 총점과 평균 구하기
//행의 길이
for(int i=0;i<score.length;i++) {
//열의 길이
for(int j=0;j<score[i].length;j++) {
//성적을 입력 받음
do {
//과목명 출력
System.out.print(course[j] + "=");
score[i][j] = input.nextInt();
}while(score[i][j] < 0 || score[i][j] > 100);
//총점 구하기
sum[i] += score[i][j];
}//end of inner for
//평균 구하기
// 총점 과목수
avg[i] = sum[i] / (float)score[i].length;
System.out.println();//단순 줄바꿈
}//end of outer for
//총점과 평균 출력
//인원수
for(int i=0;i<num;i++) {
System.out.println();//단순 줄바꿈
System.out.printf("총점 = %d%n", sum[i]);
System.out.printf("평균 = %.2f%n", avg[i]);
}
input.close();
}
}
인원수:3
국어=100
영어=70
수학=50
국어=70
영어=560
영어=60
수학=70
국어=100
영어=300
영어=500
영어=30
수학=50
총점 = 220
평균 = 73.33
총점 = 200
평균 = 66.67
총점 = 180
평균 = 60.00
'쌍용교육(JAVA)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쌍용교육 -JAVA 수업 7일차 Instance 객체 선언 및 생성 (0) | 2024.04.11 |
---|---|
쌍용교육 -JAVA 수업 6~7일차 field (0) | 2024.04.11 |
쌍용교육 -JAVA 수업 5일차 Do while문 (0) | 2024.04.11 |
쌍용교육 -JAVA 수업 5일차 Continue (0) | 2024.04.11 |
쌍용교육 -JAVA 수업 5일차 Break (0) | 2024.04.11 |
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Main01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배열선언
char[] ch; //char[]은 배열의 자료형
//배열 생성
ch = new char[4];//4는 배열의 길이를 말함.(0123)순서
//배열 초기화
ch[0] = 'J';
ch[1] = 'A';
ch[2] = 'V';
ch[3] = 'A';
//배열의 요소 출력
System.out.println(ch[0]);
System.out.println(ch[1]);
System.out.println(ch[2]);
System.out.println(ch[3]);
System.out.println("===================");
//반복문을 이용한 배열의 요소 출력
for(int i=0;i<ch.length;i++) { //i<4 는 배열의 길이 (배열의 길이를 알고 있을 때)
//i<ch.length는 배열의 길이(배열의 길이를 모를 떄)
System.out.println("ch["+i+"]:"+ch[i]);
}
//배열의 선언 및 생성
int[] it = new int[6]; //위에서는 따로따로 여기선 한줄로 만듬
//배열의 선언 및 생성(명시적 배열 생성), 초기화
char[] ch2 = new char[] {'J','A','V','A'};
//배열의 선언 및 생성(암시적 배열 생성), 초기화
char[] ch3 = {'자','바'}; //new char[]를 생략
}
}
J
A
V
A
===================
ch[0]:J
ch[1]:A
ch[2]:V
ch[3]:A
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Main02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정수형 배열 선언 및 생성
//배열을 생성하면 배열의 요소로 기본값이 저장됨
//정수형 배열은 0을 기본값으로 배열을 생성
int[] array = new int[5];
//반복문을 이용한 요소의 출력
for(int i =0; i<array.length; i++) {
System.out.println("array["+i+"]:"+array[i]);
}
System.out.println("========================");
//배열의 요소 변경
array[0] = 10;
array[1] = 20;
array[2] = 30;
array[3] = 40;
array[4] = 50;
//없는 인덱스를 호출하면 컴파일은 되지만 실행시 오류 발생
//array[5] = 60; //원래 없는 배열
//반복문을 이용한 요소의 출력
for(int i =0; i<array.length; i++) {
System.out.println("array["+i+"]:"+array[i]);
}
}
}
array[0]:0
array[1]:0
array[2]:0
array[3]:0
array[4]:0
========================
array[0]:10
array[1]:20
array[2]:30
array[3]:40
array[4]:50
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Main03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배열 선언 및 생성(암시적 배열 생성), 초기화
int[] array = {10,20,30,40,50}; //int[]를 썼기 때문에 뒤에오는 자료형들은 통일되어야됨.
//배열명
// int array[] 도 가능하다.
//반복문을 이용한 배열의 요소 출력
for(int i =0 ; i<array.length; i++) {
System.out.print(array[i]+"\\t");
}
System.out.println("\\n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");
//확장 for문을 이용한 배열의 요소 출력
for(int num: array) {
System.out.print(num + "\\t");
}
}
}
10 20 30 40 50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10 20 30 40 50
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Main04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int sum = 0; //총점을 저장하는 변수
float average = 0.0f; //평균을 저장하는 변수
//배열 선언, 생성, 초기화
int[] score = {100,88,88,100,90};// length = 5
//총점 구하기
for(int i=0;i<score.length;i++) {
//누적
sum +=score[i];
}
//평균 구하기
average = sum/(float)score.length; //float를 써줘야지 평균을 구할 때 소수점이 올바르게 나옴.
System.out.printf("총점:%d%n",sum);
System.out.printf("평균:%.2f",average);
}
}
총점:466
평균:93.20
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Main05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int[] score = {79,88,91,33,100,55,95};
int max = score[0];//최대값이 저장되는 변수
int min = score[0];//최소값이 저장되는 변수
for (int i=1;i<score.length;i++) {
//최대값 구하기
if (score[i] > max) {
max = score[i];
}
//최소값 구하기
if (score[i] < min) {
min = score[i];
}
}//end of for
//최대값과 최소값 출력
System.out.println("최대값 : "+ max);
System.out.println("최소값 : "+ min);
}//end of main
}
최대값 : 100
최소값 : 33
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Main06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문자열 배열 선언 및 생성
String[] array = new String[3];
array[0] = "Java";
array[1] = "Oracle";
array[2] = "JSP";
//반복문을 이용한 배열의 요소 출력
for (int i =0; i <array.length; i++) {
System.out.println(array[i]);
}
System.out.println("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");
//확장 for문을 이용한 배열의 요소 출력
for(String str: array) {
System.out.println(str);
}
}
}
Java
Oracle
JSP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Java
Oracle
JSP
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Main07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java.util.Scanner input =
new java.util.Scanner(System.in);
String[] course = {"국어","영어","수학"};
int[] score = new int[course.length];//0:국어,1:영어,2:수학
int sum = 0;
float avg = 0.0f;
//반복문을 이용해서 입력 처리
for(int i = 0 ; i < score.length; i++) {
//입력값을 0~100만 가능하게 조건 체크
do {
System.out.print(course[i]+ "=" );
score[i] = input.nextInt();
}while(score[i] < 0 || score[i] > 100);
//총점 구하기
sum +=score[i];
}
//평균 구하기
avg = sum/(float)course.length;
//과목의 점수 출력
for(int i=0; i<score.length;i++) {
System.out.printf("%s = %d%n", course[i],score[i]);
}
System.out.printf("총점:%d%n",sum);
System.out.printf("평균:%.2f",avg);
input.close();
}
}
국어=80
영어=70
수학=50
국어 = 80
영어 = 70
수학 = 50
총점:200
평균:66.67
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Main08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클래스를 실행할 떄 외부에서 데이터 전달
// run as + run configuration > arguments > 입력하면 들어간다.
//System.out.println(args [0]);
//System.out.println(args [1]);
if(args.length>0) {
for(int i =0 ; i < args.length; i ++) {
System.out.println(i+ ":" + args[i]);
}
}else {
System.out.println("입력한 내용이 없습니다.");
}
}
}
입력한 내용이 없습니다.
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Main09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 main 의 데이터는 두 개의 정수
// main 의 인자로 데이터를 전달하면 전달한 데이터의 자료형은
// 모두 String 으로 인식하기 떄문에 +연산이 되지않고
// 문자열 연결이 된다.
System.out.println(args[0] + args[1]);
System.out.println("-----------------------");
//자료형을 String > int 로 바꾸어 연산이 가능하게 하는 방법
int num = Integer.parseInt(args[0]);
int num2 = Integer.parseInt(args[1]);
System.out.println("합계 : "+ (num + num2));
}
}
Exception in thread "main" java.lang.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: Index 0 out of bounds for length 0
at kr.s04.array.ArrayMain09.main(ArrayMain09.java:9)
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Main10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*
* 1) 10,20,30,40,50 을 초기값으로 갖는 1차원 배열 test
* 이름으로 선언 , 생성 , 초기화 하시오.
* 2) 반복문을 이용해서 출력하시오.
* 3) 확장 for문을 이용해서 출력하시오
* 4) 인덱스 3에 데이터를 100으로 변경하시오
* 5) 마지막 요소의 값을 200으로 변경하시오
* 6) 반복문을 사용하여 모든요소의 값을 0으로 초기화 하시오 .
* 7) 홀수인덱스에 10 , 짝수 인데스에 20을 저장
* 8) 모든 요소의 총합과 평균(총합을 요소의 수로 나눔)을 구하고 출력하시오.
*/
// 1)
// 명시적 배열 생성
// int[] test = new int[] {10,20,30,40,50];
// 암시적 배열 생성
int test[] = {10,20,30,40,50};
// 2)
for(int i = 0; i < test.length; i++) {
System.out.print(test[i] + "\\t");
}
System.out.println();
// 3)
for(int num : test) {
System.out.print(num + "\\t");
}
System.out.println();
// 4)
test[3] = 100;
// 5)
test[test.length - 1] = 200;
for(int i = 0; i < 5; i++) {
System.out.print(test[i] + "\\t");
}
System.out.println();
// 6)
for(int i = 0; i < 5; i++) {
test[i] = 0;
System.out.print(test[i] + "\\t");
}
System.out.println();
// 7)
for(int i = 0; i < test.length; i++) {
if(i%2==0) {
test[i] = 20;}
else {test[i] = 10;}
System.out.print(test[i] + "\\t");
}
System.out.println();
// 8)
int sum = 0;
float avg = 0.0f;
for(int i = 0 ; i < test.length ; i++) {
sum += test[i];
}
avg = sum / (float)test.length;
System.out.printf("총합 : %d%n평균 : %.2f", sum, avg);
}
}
10 20 30 40 50
10 20 30 40 50
10 20 30 100 200
0 0 0 0 0
20 10 20 10 20
총합 : 80
평균 : 16.00
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Main11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*
* [실습]
* double 형인 배열의 모든 요소의 합과 평균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
*
* [입력 예시]
* 요소의 수 > 3
* a[0] = 2.2
* a[1] = 2.2
* a[2] = 3.3
*
* [출력 예시]
* 모든 요소의 합 : 7.7 System.out.println()
* 모든 요소의 편균 : 2.57 System.out.prinf()
*
*/
java.util.Scanner input =
new java.util.Scanner(System.in);
System.out.print("요소의 수 : ");
int num = input.nextInt();
double sum = 0;
double a[] = new double[num];
for(int i = 0; i < a.length; i++) {
System.out.print("a["+i+"] : ");
double b = input.nextDouble();
a[i] = b;
sum += a[i];
}
System.out.println("모든 요소의 합 : "+sum);
System.out.printf("모든 요소의 평균 : %.2f", (sum / a.length));
input.close();
}
}
요소의 수 : 3
a[0] : 2.2
a[1] : 2
a[2] : 2.3
모든 요소의 합 : 6.5
모든 요소의 평균 : 2.17
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Main12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*
* [실습]
* 단을 입력 받아서 1~9까지 곱하고 결과값을 배열에 저장.
* 배열에 저장 된 값을 읽어서 구구단 출력 형식 (2*1=2)로 출력하시오.
*
* [입력 예시]
* 단 입력 : 2
*
* [출력 예시]
* 2단
* -------
* 2*1 = 2
* 2*2 = 4
*/
java.util.Scanner input =
new java.util.Scanner(System.in);
System.out.print("단 입력 : ");
int dan = input.nextInt();
//연산의 결과값을 저장 할 배열 선언 및 생성
int [] array = new int[9];
System.out.println(dan + "단");
System.out.println("-------");
for(int i = 0 ; i < array.length; i++) {
array[i] = dan * (i+1);
System.out.printf("%d*%d = %d%n",dan,i+1 ,array[i]);
}
input.close();
}
}
단 입력 : 2
2단
-------
2*1 = 2
2*2 = 4
2*3 = 6
2*4 = 8
2*5 = 10
2*6 = 12
2*7 = 14
2*8 = 16
2*9 = 18
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SecondMain01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2차원 배열 선언
int[][] test;
//2차원 배열 생성 (2행 3열)
test = new int[2][3];
//2차원 배열 초기화
//행번호 열번호
test[0][0] = 100;
test[0][1] = 200;
test[0][2] = 300;
test[1][0] = 400;
test[1][1] = 500;
test[1][2] = 600;
System.out.println(test[0][0]);
System.out.println(test[0][1]);
System.out.println(test[0][2]);
System.out.println(test[1][0]);
System.out.println(test[1][1]);
System.out.println(test[1][2]);
System.out.println("--------------------");
//반복문을 이용한 배열의 요소 출력
//i가 행번호
for(int i =0 ; i < test.length; i++) {
//j가 열번호
for(int j =0 ; j < test[i].length; j++) {
System.out.println("test["+i+"[["+j+"]:" + test[i][j]);
}
}//end of for
System.out.println("--------------------");
// 2차원 배열 선언 및 생성
int test2[][] = new int[3][3];
// 명시적 2차원배열 생성
int [][]test3 = new int[][] {{10,20,30},
{40,50,60}
};
// 암시적 2차원배열 생성
int [][]test4 = {
{10,20,30},
{40,50,60}};
}
}
100
200
300
400
500
600
--------------------
test[0[[0]:100
test[0[[1]:200
test[0[[2]:300
test[1[[0]:400
test[1[[1]:500
test[1[[2]:600
--------------------
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SecondMain02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int[][] score = {
{99,98,97},
{89,72,88},
{99,97,92},
{81,92,99},
{99,90,79}};
System.out.println("번호 국어 영어 수학 총점 평균");
System.out.println("--------------------");
//행의 길이
for(int i =0 ; i < score.length; i++) {
int sum = 0;//총점
//번호 출력
System.out.print(" " + (i+1) +" ");
//열의 길이
for(int j =0 ; j < score[i].length; j++) {
//총점 구하기
sum += score[i][j];
//과목 점수 구하기
System.out.print(score[i][j] + " ");
}
//총점 출력하기
System.out.println(sum + " "+ sum/score[i].length);
}//end of for
}
}
번호 국어 영어 수학 총점 평균
--------------------
1 99 98 97 294 98
2 89 72 88 249 83
3 99 97 92 288 96
4 81 92 99 272 90
5 99 90 79 268 89
package kr.s04.array;
public class ArraySecondMain03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java.util.Scanner input =
new java.util.Scanner(System.in);
//과목명
String[] course = {"국어","영어","수학"};
//인원수
System.out.print("인원수:");
int num = input.nextInt();
//인원수 과목수
//행의 길이 열의 길이
int[][] score = new int[num][course.length];
//총점을 저장하는 배열
int[] sum = new int[num];
//평균을 저장하는 배열
float[] avg = new float[num];
//성적을 입력받고 총점과 평균 구하기
//행의 길이
for(int i=0;i<score.length;i++) {
//열의 길이
for(int j=0;j<score[i].length;j++) {
//성적을 입력 받음
do {
//과목명 출력
System.out.print(course[j] + "=");
score[i][j] = input.nextInt();
}while(score[i][j] < 0 || score[i][j] > 100);
//총점 구하기
sum[i] += score[i][j];
}//end of inner for
//평균 구하기
// 총점 과목수
avg[i] = sum[i] / (float)score[i].length;
System.out.println();//단순 줄바꿈
}//end of outer for
//총점과 평균 출력
//인원수
for(int i=0;i<num;i++) {
System.out.println();//단순 줄바꿈
System.out.printf("총점 = %d%n", sum[i]);
System.out.printf("평균 = %.2f%n", avg[i]);
}
input.close();
}
}
인원수:3
국어=100
영어=70
수학=50
국어=70
영어=560
영어=60
수학=70
국어=100
영어=300
영어=500
영어=30
수학=50
총점 = 220
평균 = 73.33
총점 = 200
평균 = 66.67
총점 = 180
평균 = 60.00
'쌍용교육(JAVA)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쌍용교육 -JAVA 수업 7일차 Instance 객체 선언 및 생성 (0) | 2024.04.11 |
---|---|
쌍용교육 -JAVA 수업 6~7일차 field (0) | 2024.04.11 |
쌍용교육 -JAVA 수업 5일차 Do while문 (0) | 2024.04.11 |
쌍용교육 -JAVA 수업 5일차 Continue (0) | 2024.04.11 |
쌍용교육 -JAVA 수업 5일차 Break (0) | 2024.04.11 |